본문 바로가기

엑셀 VALUE 함수 vs INT 함수 차이,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하는 쉬운 설명!

앙꾸또 2025. 8. 17.

엑셀 함수 VALUE와 INT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예시 포함)

엑셀을 처음 배우다 보면 함수가 너무 많아서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특히 숫자와 관련된 함수는 비슷해 보여도 역할이 완전히 다르죠. 오늘은 그중에서 VALUE 함수와 INT 함수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실제로 어떤 상황에서 쓸 수 있는지 예시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엑셀 VALUE 함수 vs INT 함수 차이,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하는 쉬운 설명!


1. VALUE 함수란 무엇일까?

엑셀에서 숫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텍스트(문자)로 저장된 값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3"은 숫자 123처럼 보이지만 따옴표가 붙으면 사실은 글자일 뿐이에요. 이런 경우 숫자처럼 계산을 하려면 VALUE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공식:
    =VALUE(텍스트)
  • 예시:
    "123" → =VALUE("123") → 결과: 123 (숫자)

즉, 글자 모양의 숫자를 진짜 숫자로 바꿔주는 함수가 VALUE입니다.


2. INT 함수란 무엇일까?

INT는 영어로 **Integer(정수)**에서 온 단어예요. 말 그대로 숫자를 정수로 바꿔주는 함수입니다. 소수점이 있는 숫자를 만나면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 부분만 남깁니다.

  • 공식:
    =INT(숫자)
  • 예시:
    =INT(5.9) → 결과: 5
    =INT(3.1) → 결과: 3

즉, 소수점 아래를 무조건 잘라내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3. VALUE와 INT 함수의 가장 큰 차이점

  1. VALUE 함수는 글자를 숫자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2. INT 함수는 소수점을 버리고 정수만 남겨주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123.45"라는 값이 있을 때:

  • =VALUE("123.45") → 결과: 123.45 (숫자로 변환됨)
  • =INT(123.45) → 결과: 123 (소수점 잘림)

즉, VALUE는 "숫자가 아닌 글자"를 다루고, INT는 "숫자 안에서 소수점을 다루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습니다.


4. 실무에서 VALUE 함수 활용 예시

  1. 문자열로 된 데이터 변환
    쇼핑몰에서 주문 데이터를 다운받으면 "2025" 같은 연도가 텍스트로 저장되어 계산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 =VALUE("2025")를 사용하면 숫자로 변환되어 연산이 가능해집니다.
  2. 외부 데이터 처리
    은행이나 카드사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면 "1,000"처럼 콤마가 들어간 값이 텍스트로 처리될 때가 있습니다. 이때 VALUE 함수를 쓰면 계산할 수 있는 숫자가 됩니다.

5. 실무에서 INT 함수 활용 예시

  1. 가격 계산 시 소수점 버리기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을 3개 사면 가격이 3333.3원처럼 소수점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때 =INT(3333.3)을 쓰면 3333원으로 깔끔하게 계산됩니다.
  2. 시간 단위 계산
    7.8시간을 근무했다고 할 때, 정수 시간 단위만 계산하고 싶다면 =INT(7.8)을 사용해서 7시간만 추출할 수 있습니다.

6. VALUE와 INT 함수를 함께 쓰는 방법

실무에서는 종종 VALUE와 INT를 함께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45.9"라는 값이 텍스트라면 그냥 계산이 안 됩니다.

  • =VALUE("45.9") → 45.9 (숫자로 변환됨)
  • =INT(VALUE("45.9")) → 45 (정수로 변환됨)

즉, 텍스트를 숫자로 바꾸고 나서 정수로 만들 때 두 함수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엑셀 텍스트 줄바꿈 한방에 해결! 셀 안에서 자동 줄바꿈 하는 법

엑셀로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셀 안에 글자가 길어져서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특히 보고서나 견적서, 가계부처럼 텍스트가 많은 문서를 만들 때 줄바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보

pop-young.kr

 


7. 이해하기 쉬운 비유!

  1. VALUE 함수는 ‘가짜 돈을 진짜 돈으로 바꿔주는 것’과 같아요. 가짜 지폐는 아무리 많아도 쓸 수 없지만, 진짜 돈으로 바꿔야 쓸 수 있는 것처럼요.
  2. INT 함수는 ‘100원 단위로만 쓰는 것’과 같아요. 123원이 있으면 소수점 밑을 버리고 123원만 남기는 거예요.

이렇게 생각하면 두 함수의 차이가 확실히 구분됩니다.


8. 한줄 요약!

  1. VALUE 함수는 글자를 숫자로 변환하는 데 쓰인다.
  2. INT 함수는 소수점을 잘라내고 정수만 남긴다.
  3. 실무에서는 외부 데이터 처리, 가격 계산, 시간 계산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다.
  4. VALUE와 INT를 함께 쓰면 문자열 숫자도 정수로 바꿀 수 있다.

이제 여러분도 VALUE와 INT 함수를 언제 어떻게 써야 하는지 쉽게 구분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