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세금 얼마나 낼까? 퇴직소득세 계산법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퇴직금 세금 계산법, 어렵지 않게 이해하고 준비하는 방법
회사에서 오랜 기간 근무하고 퇴직하게 될 때, 가장 궁금한 것 중 하나가 바로 퇴직금입니다. 그런데 퇴직금의 전액을 그대로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일정 금액의 세금이 공제되기 때문에 실제 수령액은 생각보다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금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는지, 실제 예시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복잡한 계산기 없이도 기본 구조를 알면 준비가 쉬워집니다.
1. 퇴직금 세금의 기본 구조 이해하기
퇴직소득세는 단순한 소득세와 다르게 계산됩니다. 일반 근로소득세는 월급을 기준으로 부과되지만, 퇴직소득세는 퇴직 소득공제와 근속연수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낮은 세율로 계산됩니다. 이는 장기간 성실하게 근무한 직장인에게 세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정책적 배려이기도 합니다.
2. 퇴직소득 계산 순서
퇴직금에 부과되는 세금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계산됩니다.
① 총퇴직금 확인
가장 먼저 회사에서 받게 되는 퇴직금을 확인합니다.
② 근속연수 확인
퇴직금 세금은 근무한 기간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도 단위로 계산합니다. 1년 미만은 월 단위로 보정합니다.
③ 퇴직소득공제 적용
일정 금액은 자동으로 공제됩니다. 이 공제 금액은 근속연수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④ 과세표준 계산
총 퇴직금에서 소득공제를 뺀 금액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⑤ 세율 적용
과세표준에 따라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⑥ 1/2 세율 적용
최종 산출된 세금은 과세표준의 1/2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이는 퇴직소득세만의 특징입니다.
3. 퇴직소득세 계산 예시 (2024년 기준)
▶ 예를 들어 확인해 볼까요?
● 예시 조건:
- A씨는 한 회사에서 15년 근속하고 2024년에 퇴직합니다.
- 퇴직금 총액은 60,000,000원(6천만 원)입니다.
- 중간정산 이력이나 추가 소득은 없습니다.
● 퇴직소득공제 계산:
- 12년까지는 연 3백만 원 공제: 3,000,000원 × 12년 = 36,000,000원
- 이후 3년은 연 5백만 원 공제: 5,000,000원 × 3년 = 15,000,000원
→ 총 공제액: 36,000,000원 + 15,000,000원 = 51,000,000원
● 과세표준 계산:
- 퇴직금 총액 – 소득공제 = 60,000,000 – 51,000,000 = 9,000,000원
● 세율 적용 및 1/2 적용:
- 9,000,000원 × 6% = 540,000원
- 540,000 ÷ 2 = 270,000원 (최종 퇴직소득세)
항목 | 금액 |
퇴직금 총액 | 60,000,000원 |
퇴직소득공제 | 51,000,000원 |
과세표준 | 9,000,000원 |
산출세액 (6%) | 540,000원 |
최종 퇴직소득세 (1/2 적용) | 270,000원 |
※ 실제 세금은 원천징수영수증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4. 퇴직소득세 자동 계산기 활용하기
복잡하게 느껴진다면, 국세청 홈택스나 여러 금융 포털에서 제공하는 퇴직소득세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퇴직일, 근속연수, 퇴직금 등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세금이 계산되어 나옵니다.
하지만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 실제 세액은 회사에서 발급하는 원천징수영수증을 기준으로 확정됩니다.
5. 절세 팁: 퇴직 전 체크포인트
- 퇴직금 중간정산을 자주 했다면 세금이 달라질 수 있으니 전체 퇴직금 내역을 다시 정리해보세요.
- 근속연수가 길수록 공제 금액이 커지기 때문에, 퇴직 시점을 전략적으로 조정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이직이나 재취업을 계획 중이라면 퇴직소득과 근로소득이 겹치지 않도록 조정하세요.
6. 퇴직금과 퇴직연금, 세금은 어떻게 다를까?
퇴직금 외에 퇴직연금(IRP, DC형, DB형 등)을 운용 중인 분들도 많습니다. 이 경우, 연금을 일시금으로 받느냐, 연금으로 받느냐에 따라 과세 방식이 달라집니다. 연금 수령 시에는 일반 소득세가 아닌 연금소득세가 적용되며, 상대적으로 낮은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따라서 연금 수령 전략도 중요합니다.
퇴직은 누구에게나 큰 전환점입니다. 예상치 못한 세금으로 인해 수령액이 줄어들면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미리 계산 구조를 이해하고 준비한다면, 퇴직 후의 계획도 훨씬 안정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번 포스팅이 퇴직금 세금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드리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과세란 무엇인가요? 세금 안 내는 합법적인 방법! (0) | 2025.05.01 |
---|---|
퇴직 전에 꼭 봐야 할 세금 체크리스트 7가지! 퇴직금 수령 전 필수 가이드 (0) | 2025.04.27 |
퇴직연금 vs 퇴직금, 뭐가 더 유리할까? 절세와 수익의 차이를 한눈에! (3) | 2025.04.26 |
퇴직연금 수령 전략 총정리: 절세부터 수령 시기까지 한눈에! (0) | 2025.04.25 |
어버이날 선물 추천, 부모님을 위한 건강기능식품과 마사지기 베스트 5 (0) | 2025.04.15 |
LG전자 포인트, 4월 말 소멸? 놓치면 후회하는 활용 꿀팁 공개!(엘지전자 포인트 소멸 알림) (0) | 2025.04.13 |
전역 후 군적금 활용법 – 목돈을 더 크게 키우는 방법!(군대 적금) (1) | 2025.03.24 |
군대 전역 케이크 준비, 토퍼와 초로 간단하게 축하하는 방법(토퍼 구매 후기) (0) | 2025.03.21 |
댓글